본문 바로가기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대표적인 생태건축 ‘한옥’

by 어문학사 2023. 5. 2.

오랜 기간 최우선 순위를 차지했던 산업화와 공업화는 환경 훼손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였고, 세계 각국은 뒤늦게나마 환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자연환경의 회복을 위하여 힘쓰고 있다. 이에 건축계에서도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원과 에너지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건강한 주()생활 또는 업무가 가능한 건축을 추구하고자 하는 건축운동이 시작되었다.

 

 

 

 

 

 

출처: 한겨레

 

 

산업혁명 이후 물질문명의 발달과 지구의 포화로 인한 자연자원의 소멸숲의 소멸로 인한 생태계 파괴오존층 파괴황사사막화산성비 등은 자연생태계의 제어기능 상실을 초래하였다이에 인류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자연환경의 회복을 위하여 애쓰고 있다.
 
건축계에서도 지구를 지키고 환경을 보호하자는 건축운동이 일어나고 있다생태건축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생태건축은 자연이 만든 환경과 인간이 만든 환경을 융합하여 거대한 생태계가 된다는 의미이다다시 말해 생태건축은 기존 건축기술에서 발전된 첨단 기술이며 자연의 순환체계와 통합되는 건축계획으로 환경문제와 결부하여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유기체로서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경기일보

 

 

우리나라의 고유한 주거문화재인 한옥은 대표적인 생태건축이라고 할 수 있다그 첫 번째 이유로 건축 방법을 들 수 있다한옥은 천연재료인 흙나무한지 등을 이용하여 건축하고 건물이 수명을 다하여 없어지면 이들 재료는 모두 다시 자연으로 회귀하게 된다.
 
두 번째 이유로는 자연과의 조화를 꼽을 수 있다우리나라 전통한옥의 집터는 마을과 같이 형성된다평지보다는 약간 경사가 진 집터를 선호하였는데 뒤에는 배산이 있고 앞에는 물이 흐리며 평야가 펼쳐져 있고 좌측과 우측은 산의 능선이 감싸고 있다풍수지리에서 말하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조건이다.
 
이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자연생태와는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게 된다이렇게 하면 남향으로 햇빛을 자연스럽게 많이 받을 수 있고 흐르는 바람을 맞을 수 있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마을 뒤편 북쪽에서 불어오는 추운 바람을 막아 따뜻한 자연조건을 가지게 된다.
 
집은 문간채를 들어가면 행랑채가 있고 행랑마당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에는 사랑채가 있고 사랑마당이 형성된다그리고 안행랑채를 지나면 안채와 안마당이 형성된다그리고 그 뒤에는 사당이 있고 그 뒤에는 뒷산이 있어 자연스럽게 지형이 형성되면서 집과 자연이 하나가 된다이처럼 한옥은 사람이 사는 집과 자연이 하나가 되는 자연생태계이다.
 
마지막으로 한옥의 평면과 채나눔을 들 수 있다한옥의 평면은 한옥이 자연을 과학적으로 활용한 건축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평면은 부엌과 방대청 등으로 구성된다.
 
그중에서도 대청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생태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더운 여름날 마당에는 더운 공기가 형성되고 뒷면의 산에는 찬 공기가 형성되는데 찬 공기가 마당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대청을 시원하게 해 주는 통로 역할을 해주고 있다그리하여 바람이 자연스럽게 마당에서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대청에서 시원한 주생활을 할 수 있다이처럼 대청은 자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한옥을 건축하는데 있어 지켜지는 원리는 건물을 자연에 대항하여 크게 짓지 않는다는 점이다예컨대 서양의 고전건축인 파르테논신전이 아크로폴리스 언덕위에 건축되고 중세의 고딕건축 성당이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은 건축인 반면우리의 한옥은 골짜기 속에 파묻혀 있고 뒤에 배경으로 있는 산을 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흐르는 경사면을 따라서 집이 서 있다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건물을 대형으로 하지 않고 건물을 기능에 따라서 여러 동으로 나누어 건물과 건물이 공간을 만들고 건물 사이에 만들었는데이를 채나눔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한옥은 기능에 따라 행랑채를 지나면 남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사랑채가 있고 사랑채를 지나면 여성들이 주로 기거하는 안채가 있고 그 뒤에는 조상님을 모시는 사당이 있다이렇게 채나눔을 통하여 기능과 공간을 구분하면서 자연과 조화되는 건축을 추구하였다.
 
한옥을 건축하는데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원칙은 집이 사람을 누르지 않고 사람도 집을 누리지 않는 사람과 집이 하나인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다이는 인간적 척도라 하는데 한옥에서는 좌식생활을 주로 하였기 때문에 방의 크기방의 높이그리고 건축 부재인 기둥의 높이들보의 크기 등을 거기에 사는 사람들의 크기와 비례하여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공간을 만들었다.

 

 

 


 

 

 

 

현대한옥 개론

‘한옥’, 우리의 전통가옥은 현대의 삶에서 편하게 접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를 안타깝게 여겨 사람들에게 전통가옥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내어 대중화의 길로 이끌고자 (사)한옥학회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