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자민당 총재선에서 “「고노 담화」를 재고하겠다”는 공약을 들고 나와 아베 신조가 당선되었고, 같은 해 12월 총리에 취임한 이래 ‘위안부’ 문제 부정론이 과열되고 정부도 계속 개입했다. 그러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비난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다. 일본 우파운동에 있어서 ‘위안부’ 문제는 중심적인 위치를 계속 점해왔다.
1. 역사수정주의의 해외 전개와 인터넷 활용
2006년 9월 제1차 아베정권이 발족하자 일본 내에서 ‘위안부’ 부정론이 거세게 일었다.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위안부’에 관한 기술이 일제히 삭제되었고, <일본의 전도와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이 활동을 재개했다.
일본 우파의 움직임은 국내에서 그치지 않았다. 우파단체가 국제무대로 진출하게 된 동인(動因)은 2007년 4월 <일본회의수도권지방의원간담회> 멤버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NPO법인 <가족유대를 지키는 모임 FAVS>다.
FAVS는 결성 직후부터 프로라이프(pro-life: 인공임신중절반대)와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보수계 단체가 소속된 ‘세계가족회의’에 참가하는 등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에 힘썼다. 국제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2007년에는 외무성 주체 ‘인종차별철폐조약에 관한 의견교환회’ 참가를 촉구하여 실현시켰고, 여성차별철폐위원회 심사장에 NGO자격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FAVS가 쌓아놓은 UN활동은 이후의 ‘위안부’ 문제 전개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2000년대 중반은 인터넷상에서의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확대된 시기이기도 하다. 우파단체는, 그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2004년 위성TV제작회사인 <일본문화채널 사쿠라>가 발족하여, 인터넷발신을 시작했다. 여기에 ‘2채널’ 등의 게시판이나 mixi 등의 SNS도 합세하여,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정치인이나 우파논객들이 발신하는 ‘위안부’ 부정론이 더욱 확대되어갔다.
또한 아베정권이 발족할 무렵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발신하는 ‘넷우익’이라 불리는 계층에서 배외주의를 기조로 하는 새로운 운동단체도 생겨났다. 그 대표적인 단체가 ‘재특회(재일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 모임)’다. 재특회를 비롯한 운동단체들은 시민운동이라 주장하며 기존의 가두시위 우익과 구별하면서도, 일본회의 등의 주류보수운동보다 가두시위나 데모 등의 가두행동을 중시했다. 그리고 가두행동이나 집회 등을 인터넷 동영상으로 방송하면서 메시지를 확대하여 새로운 회원과 지지층을 확보해갔다. 이러한 운동 전개와 함께 ‘위안부’ 비판 메시지도 인터넷을 통해 더욱 확대시켜갔다.
2. 자민당과 일본정부의 역사전
2014년부터 재미(在美)나 재호(在豪) 일본대사관과 영사관 웹사이트에 “역사문제가 발달이 된 괴롭힘, 폭언 등의 피해를 입은 분들, 구체적인 피해정보를 가지고 계신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이나 상담을 해주십시오. 프라이버시, 개인정보는 보호해드리며, 현지관계기관에 대한 정보제공지원 등도 하겠습니다”라는 취지의 글이 게시되었다.
이전까지 일본 우파로부터 국제홍보활동과 반론이 약하다는 비판을 받아 온 일본 외무성은, 이 게시 글을 신호탄으로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미국 주요 언론지 특파원이 ‘위안부’ 문제를 다룬 기사에 대해, 기사에서 인용한 인물이나 내용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하는 항의 메일을 보낸 것이 대표적이다. 2015년 1월에는 일본정부가 전년 12월에 미국 맥그로 힐사의 세계교과서 저자와 출판사에 ‘위안부’에 관한 기술을 변경하도록 요구해왔던 사실이 맥그로 힐사의 공표로 밝혀지기도 했다.
자민당 차원의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2015년 2월 자민당이 ‘한․중이 제3국에서 반일선전을 하는 것에 대항한다’는 명목으로 2014년 3월에 발족시킨 국제정보검토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하라다 요시아 전 문부과학 부대신은, 위원회 모임 직후 기자에게 “위안부나 난징대학살의 존재자체를 우리나라는 이제 부정하려고 한다”는 발언을 했다고 보도되었다. 이날 위원회 강사는 <편찬하는 모임>의 회장 스기하라 세이시로와 다카하시 시로였다.
한편 우파단체가 캘리포니아 주 풀러턴 시, 오스트레일리아 스트래스필드 시 등에서 ‘위안부’ 소녀상 설치가 미루어진 것을 승리라 간주한 가운데, 2015년 9월 샌프란시스코 시에서 ‘위안부’ 메모리얼 건설이 전원일치로 가결되었다.
NHK 보도에 의하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샌프란시스코의 결의는 일본정부의 생각이나 지금까지의 노력과는 맞지 않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매우 유감이다. 위안부 문제를, 정치문제, 외교문제화시킬 일이 아니다” “일본정부로서는 객관적 사실에 의거한 바른 역사인식이 계승되도록 계속 전략적 발신을 강화시켜가겠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그런데 “정치문제로 다룰 일은 아니다”고 말하면서 정부는 관계자들을 독려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생각이라는, 그의 설명은 그야말로 모순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바다를 건너간 위안부
4명의 일본인 학자가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우파와 일본정부의 해외 전개의 실태와 배경까지 낱낱이 설명한 책이다. 일본 우파와 정부는 한일 문제뿐 아니라 중국, 동남아시아, 미국, 유럽 관
www.aladin.co.kr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라는 관점에서 점령군 위안부와 일본군 위안부의 위치를 살핀다. 또한 전쟁 상황에서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 속에서 연애, 매춘, 강간을 연속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www.aladin.co.kr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표적인 생태건축 ‘한옥’ (0) | 2023.05.02 |
---|---|
파손된 민주주의의 가드레일 (0) | 2023.04.25 |
에너지 딜레마에서 벗어나자 (0) | 2023.04.11 |
최대 목적은 선거협력 - 자공연립을 유지하는 논리와 심리 (1) | 2023.03.27 |
일본, 그 역사에 대한 무지와 무시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