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전쟁이 초래한 역사상 최악의 바다 환경 재난

by 어문학사 2022. 12. 26.
지구에서 발생한 환경 재난의 대부분은 인간의 부주의와 환경에 대한 무지 때문에 발생한 사건들이다. 그러나 걸프전의 유전 폭파는 고의로 재난을 유발해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하려 한 환경 테러 사건이었다. 당시 한 신문이 걸프전을 ‘지구를 인질로 잡고 벌이는 전쟁’으로 비유했을 만큼 걸프전은 참혹한 환경 재난을 초래했다.

 

 

 

 

 

1. 최악의 환경 재난을 불러온 걸프전

 

출처: VOA한국어

 

 

1990년 8월 2일 이라크가 무력으로 쿠웨이트를 점령했다. 1991년 3월 3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유엔군이 쿠웨이트를 수복했다치열한 전투 끝에 쿠웨이트를 빼앗긴 이라크는 페르시아만에 위치한 송유 부두와 유정 800여 개를 공격했고송유관과 저장탱크 등 관련 시설까지 모조리 파괴했다이라크의 공격으로 인해 유출된 원유는 지금까지 세계 어떤 유조선 사고나 해상 유전 누출보다 많은 양으로파괴된 송유 부두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로 이어지는 해안선 450여 km를 뒤덮을 정도였다.
 
이 잔인한 환경 테러의 결과는 참혹했다전쟁 이전 다양한 생물종의 보고였던 페르시아만은 물새 조차 살수 없는 곳이 되었고식수의 90% 이상을 페르시아만 해수를 통해 얻던 사우디아라비아바레인카타르아랍에미리트 주민들은 마실 물조차 구할 수 없게 되었다.
 
기름 유출로 인한 피해와 더불어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도 심각했다새들이 죽고 가로수가 시들어 갔으며 사람들이 질식사할 지경이었다.
 
피해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쿠웨이트 수복 후의 최대 난제는 화염에 휩싸인 600여 개 유정의 불길을 잡는 일이었다세계 각국에서 파견된 특수 소방대원들이 총력을 기울였지만유정의 불길을 완전히 잡는 데에는 2년의 시간이 걸렸다이때 발생한 연기로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주민들은 호흡기 질환에 시달려야 했고인근 중동 국가에는 산성비가 내리기도 했다.
 
파괴된 유전에서 나온 많은 양의 기름은 땅 위로 범람해 토양을 오염시키고 강과 호수는 물론 지상의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를 뒤덮었다기름은 이렇게 육상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하면서 토양 깊숙이 스며들었다기름 범람으로 인한 토양오염 피해는 당시 발생한 대기오염이나 해양오염에 비해 직접적인 피해는 적었지만가장 오래 지속되었다.

 

 

 

 

2. 전쟁과 환경 재난

 

출처: 그린포스트코리아

 

 

인류 역사를 보면 전쟁은 항상 환경 재난을 야기했다. 점령군은 적국의 가옥과 논밭을 불태웠고 가축과 곡식을 약탈했으며, 우물에는 독을 뿌렸다. 우리는 환경 재난으로 이어지는 살생, 약탈, 방화 등을 모든 전쟁에서 볼 수 있다.
 
걸프전은 일반적인 전쟁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파괴 행위 외에, 페르시아만에 집중되어 있는 수많은 유전과 송유시설을 파괴함으로써 그 어느 전쟁보다도 더 참혹한 환경 재난을 초래했다. 그 피해는 매우 광범위했고, 오랜 기간 회복 불가능 상태로 남게 되었다.
 
한편 오늘날의 산업사회에서 일어나는 전쟁은 원자력발전소나 유독성 화학물질 제조공장 등과 같은 위험시설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엄청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핵무기나 생화학 무기와 같은 대량 살상용 무기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상상을 초월하는 비극을 초래하게 된다. 물론, 전쟁을 사전에 막는 것이 최선이지만, 만일에 일어날지 모르는 전쟁으로 인한 환경 재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고려한 도시계획이나 산업시설 배치, 비상체계 등과 같은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 전쟁 시 대형 환경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시설을 파괴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제2의 제네바협정을 맺는 것이 지구와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로 가는 길이기도 하다.

 


 

 

환경재난과 인류의 생존전략

산업화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다양한 형태의 환경 재난을 발생 배경과 원인, 전개 과정, 결과와 피해, 후속 대책 등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다.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