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대학의 역사적 건조물, 후루카와 기념 강당에 오래된 두개골이 방치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청일전쟁 시 일본군에 대항해 봉기한 ‘동학당’ 지도자의 효수된 유골이라고 했다. 유골 과 함께 발견된 메모지에는 농민군 지도부 수백 명이 함께 죽임을 당했다고 쓰여 있었다. 메모와 1894년 봄에 일어난 동학농민군 봉기의 관련성을 추적해가던 나는 어떤 진실과 마주하게 되었다.
1. ‘동학당 수괴’라고 쓰여 있는 유골
홋카이도대학 구내, 문학부 2층의 작은 회의실에서 나는 완전히 백골이 된 머리뼈 유골을 마주 보고 있었다. 1995년 8월 초의 일이다.
이 유골은 홋카이도대학의 역사적 건조물, 후루카와 기념 강당에서 발견되었다. 철제 책장과 종이 상자 안에 낡은 스포츠신문에 싸여, 함께 발견된 다른 다섯 개의 유골과 방치되어 있었다. 종이 상자 윗면에는 ‘E인골’, ‘파손 주의’라고 매직잉크로 쓰여 있었다.
형질인류학자가 발견된 유골을 보았다. 유골은 성인 남성으로는 약간 작았다. 그러나 두개골의 크기와 키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 어금니 세 개가 남아 있고 두개봉합부의 교합, 치아의 마모 정도로 볼 때 30대~40대 남성인 듯이 보였다. 두개골 안에 모래알과 미세한 풀뿌리들이 붙어 있었다. 유골을 연구 자료로 취급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에 어긋난다. 그러나 이 유골은 자료로 취급된 흔적도 없었다.
유골에는 또한 한 장의 메모가 첨부되어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한국 동학당이 전라남도 진도에서 평정되었다. 수괴자는 효수되었는데 이 유골은 그중 한 명의 것이고 진도를 시찰했을 때 채집한 것이다.” 메모에 유골을 채집했다고 적혀있는데, 채집이라는 말은 유골을 물건으로 보고 멸시한 것이다.
이 유골을 가져온 메이지 39년은 서기 1906년이고, 동학당이 봉기한 메이지 27년은 채집 12년 전인 1894년, 청일전쟁이 한창인 때였다.
2. 유골이 말하는 알려지지 않은 역사
1995년 동학당 수괴라고 쓰여 있는 유골의 역사적인 전래(傳來)를 조사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동학당 봉기는 1894년 청일전쟁이 발발한 시기에 일어난 조선 농민의 일제 봉기다. 한국 민주화운동의 시조로 동학사상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동학농민혁명’이라는 호칭이 보편화되었다.
그런데 유골과 함께 발견된 메모에 적힌 동학당 봉기는 1894년 봄에 일어난 동학농민군 봉기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메모에 적힌 ‘전라남도 진도의 동학당 봉기’는 1894년 봄의 ‘동학당 봉기’와는 분명히 다른 사건이다. 사실(事實)을 알기 위해서는 제1차 동학농민전쟁 이후를 추적해야 했다. 그렇게 역사적 사실을 추적해가던 중, 나는 일본군이 섬멸의 중심에 섰던 제2차 동학농민전쟁이 의외로 일본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894년 7월 23일, 일본 공사관과 군은 군사력을 행사하여 서울 왕궁을 점거하고 정부 각료를 교체시켜 청일전쟁으로 돌진했다. 청일전쟁 초기, 일본군 병참선은 부산에 상륙하여 경상도를 북상했다. 소백산맥에서 충청도 그리고 충주에서 한성까지, 일본군은 계속해서 병참선을 넓혀갔고, 후에는 서해안의 인천까지 연장되었다.
청일전쟁 개전 1개월 후인 8월 말, 일본에서 후비 제10연대 5중대(1중대가 약 220명)가 파견되어 부산에서 조령을 넘어 서울, 인천에 도달하는 병참부의 수비를 맡았다. 후에 병참선이 평양으로까지 연장됨에 따라 일본에서 후비 제6연대가 파송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군의 조선 왕궁 군사 점령 사건, 국토를 종단하는 일본군 병참선의 설치와 대거 침입은 동학농민군의 재봉기를 불러일으켰다.
외세의 침략에 대해 그들은 민족으로 단결하여 맞섰다. 동학농민군은 우선 일본군 병참선의 군용 전신선을 절단하거나 수비대 진지를 습격하는 봉기를 계속했다. 게릴라적 봉기를 시작으로 동학농민군은 일본군에 거세게 저항했다. 같은 9월 하순, 경상도 안동에서는 3천 명이 병참부를 습격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가까운 대봉 병참부에서도 일본군 다케우치 모리마사 대위가 조선복으로 변장하고 정찰하다가 동학농민군에게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계속되는 거센 저항에 일본군은 ‘모조리 살육’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런데 여기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게 있다. 청일전쟁 당시 조선은 일본의 교전국이 아니었으므로 동학농민군은 적병이 아니었다. 그들은 조선 정부의 주권하에 있었다. 또 설령 동학농민군이 적병이었다 해도 붙잡힌 병사는 전쟁법상 포로이고, 따라서 모조리 살육할 수 없다. 전시 포로는 설령 지휘관이라 해도 살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낙동 병참사령부가 붙잡힌 동학농민군에 대해 ‘수령이라고도 생각되지 않고’, ‘세력자가 아니’라면서 참살하거나 극형에 처하는 데 대해 우려를 느낀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대본영은 일본이 문명국이라면서 국제법학자 아리가 나가오까지 군에 초빙했으면서도 조선에 대해서는 국제법을 개의치 않았다.
메이지 일본의 식민지 지배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 이노우에 가쓰오의 책으로, 저자가 홋카이도대학에서 발견된 유골의 조사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집필한 <중간 보고서>(1996)와 <보고서>(1997), 그리고 오늘날까지 꾸준히 지
www.aladin.co.kr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
재일사학자 강덕상의 회고록. 강덕상의 회고록에는 재일조선인 연구자로서의 솔직한 삶의 고백이 담겨있다. 자신을 되찾기 위해 괴로워했던 시대의 의무를 짊어진 연구자 강덕상의 삶의 흔적
www.aladin.co.kr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덕쟁이 일본 정부의 대실수 (0) | 2022.12.29 |
---|---|
전쟁이 초래한 역사상 최악의 바다 환경 재난 (0) | 2022.12.26 |
노예 무역과 자본주의 (1) | 2022.12.20 |
발생에서 종결까지 40년, 공해병의 무서움을 보여준 미나마타 사건 (0) | 2022.12.15 |
군장을 갖춘 여성들 (1)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