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는 유럽인의 신대륙으로의 이주와 흑인 노예의 카리브 해역으로의 이입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제2의 세계의 재편’이 격렬하게 진행된 시대였다. 제1의 세계의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개성적인 사회의 출현이었다.
1. 플랜테이션의 보급과 해도의 확충
18세기는 유럽인의 신대륙으로의 이주와 흑인 노예의 카리브 해역으로의 이입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제2의 세계의 재편’이 격렬하게 진행된 시대였다. 17세기 후반 신대륙의 은이 고갈되어 유럽으로의 유입량이 감소한 것이 제2의 세계의 구조를 크게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신대륙의 광산 자원이 줄어듦에 따라 유럽시장에 판매되는 상품 작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플랜테이션(plantation)’이 확대되었다. 플랜테이션이란 선진국이나 다국적기업의 자본 및 기술과 원주민의 값싼 노동력이 결합되어 생산된 작물을 유럽 시장에서 싸게 판매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천연두의 유행으로 선주민의 대다수가 사망한 카리브 해역과 신대륙에는 플랜테이션을 보급하기 쉬운 특수한 상황이 조성되었고, 제2의 세계에서 플랜테이션은 폭발적으로 확장되었다. 플랜테이션으로 만들어진 대량의 상품 작물이 유럽으로 운송됨에 따라 유럽 시장은 급속도로 팽창하게 된다.
2. 노예 무역과 자본주의
신대륙의 플랜테이션에서는 많은 상품 작물이 대량으로 재배되었는데, 사탕수수는 그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상품이었다. 제2의 세계의 핵심을 이루는 카리브 해역에서 대량의 설탕을 생산하면서, 지위를 나타내는 기호품이었던 설탕은 대중적인 조미료로 모습을 바꾸었다. 이렇게 값싸진 설탕은 급속도로 그 소비량이 증가했다.
그런데 사탕수수에는 수확한 뒤 급속도로 단맛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설탕의 생산은 단시간에 집약적인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많은 노동력의 투입을 필요로 했다. 이는 거꾸로 말하면 노예만 확보할 수 있으면, 값싼 농지를 이용하는 사탕수수로 재배로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당시 설탕 플랜테이션에서는 100명 정도의 노동력이 있으면, 연간 80톤의 설탕 생산이 가능했다고 한다. 실제로 1645년의 한 영국인의 편지에는 “흑인 노예는 1년 반만 일을 시키면 본전을 회수할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8세기 제2의 세계에서의 사탕수수 재배와 설탕 생산 급증은 또한 자본주의 경제를 출현시켰다. 설탕 생산의 폭발적인 증가로 플랜테이션의 설비가 대규모화되자, 노예의 식량은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로부터 사들였고, 제당을 위한 각종 설비나 일용품은 모두 화폐로 구입되었으며, 생산된 대량의 설탕은 유럽 시장에서 상품으로서 매각되었다. 모든 것이 화폐로 굴러가는 설탕 산업이 제2의 세계 카리브 해에서 싹 튼 것이다.
이처럼 카리브 해역의 설탕 생산은 자급자족을 토대로 하는 종래의 농업과 달리 대량의 상품 작물의 생산, 유통, 교환에 의한 새로운 경제 시스템이었다. 이는 그야말로 대서양 상권, 또는 제2의 세계로부터 모습을 드러낸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이었다. 해상의 도로를 안정시키는 해도의 확충이 자본주의 경제 확대에 불가결한 전제 조건이 된 것은 말할 나위도 없었다.
해도의 세계사
바다에서 시작된 세계사를 다룬 책이다. 전근대의 문명교류사를 새로운 시점에서 읽어내는 미야자키 마사카츠의 <해도의 세계사>. 저자는 인간들이 왜 바다로 나갔고 어떻게 바다를 통해서 세
www.aladin.co.kr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이 초래한 역사상 최악의 바다 환경 재난 (0) | 2022.12.26 |
---|---|
동학당의 방치 유골이 말하는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 (0) | 2022.12.22 |
발생에서 종결까지 40년, 공해병의 무서움을 보여준 미나마타 사건 (0) | 2022.12.15 |
군장을 갖춘 여성들 (1) | 2022.12.14 |
동짓날에는 왜 팥죽을 먹을까?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