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앨 고어의 연설에서 시작된 빙하 대재앙 소동

by 어문학사 2023. 11. 7.
앨 고어(Al Gore)는 노벨평화상 수상 연설에서 “2013년까지 북극해 빙하가 사라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앨 고어의 연설 이후 언론들은 관련 보도를 쏟아냈다. 앨 고어의 예측이 빗나가면서 유력 언론들의 보도는 결과적으로 오보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종말론적 환경주의자들은 여전히 빙하 대재앙 선동을 하고 있다.

 

 

 

 

 

1. 앨 고어의 연설에서 시작된 빙하 대재앙 소동

 

출처: 중앙일보

 

 

앨 고어(Al Gore)는 노벨평화상 수상 연설에서 “2013년까지 북극해 빙하가 사라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앨 고어의 연설 이후 언론들은 관련 보도를 쏟아냈다. BBC 방송은 미국의 과학자들은 북극해 빙하에 관해 매우 충격적인 예측을 했다. 그들의 모델링 연구는 불과 5~6년 내로 여름철 빙하가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같은 날 미국 지역지 <스타 뉴스> ‘2012년이 되면 북극해의 모든 빙하가 사라질까?’라는 제목의 AP 통신의 기사를 인용한 보도에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새로운 위성사진을 보면 북극해 빙하뿐만 아니라 그린란드 빙하도 급격히 녹고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고 했다.
 
앨 고어의 예측이 빗나가면서 유력 언론들의 보도는 결과적으로 오보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종말론적 환경주의자들은 여전히 빙하 대재앙 선동을 하고 있다.

 

 

 

 

 

2. 그들의 주장이 틀렸음을 입증하는 과학적 사실들

 

<그림 1> 1979년부터 2017년까지 북극해 빙하의 변화

 

 

미국 지구변화 연구 프로그램(U.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me) 2018 4차 국가기후평가보고서를 출간했다.
 
<그림 1>은 미국의 4차 국가기후평가보고서에 들어 있는 북극해 빙하 그래프. 1979년 이후 북극해 빙하가 급감한 것을 볼 수 있다. 종말론적 환경주의자들은 이것을 기후대재앙의 증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들의 주장이 거짓임을 입증하는 과학적 사실이 있다.

 

 

<그림 2> 겨울철 북반구 눈 덮인 면적 변화

 

 

미 항공우주국은 1966년부터 북반구의 눈 덮인 면적을 인공위성으로 관측해오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북극해 빙하의 위성 관측은 1970년대 초 또는 그 이전부터 시작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림 2> 1966년부터 2022년까지 북아메리카와 그린란드의 눈 덮인 면적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시기별로는 증가와 감소 추세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약간의 증가 추세를 보인다.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일어났다면 눈 덮인 면적에 상당한 감소가 관측되었어야 할 것이다.

 

 

<그림 3> IPCC 1차 보고서의 북반구 바다 빙하 그래프(북반구 바다 빙하는 북극해 빙하를 의미한다)

 

 

IPCC 1차 보고서에는 여기에 숨겨진 의도를 폭로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림 3>을 보면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1972/3년부터 북극해의 빙하 크기를 측정하기 시작했다는 사실과 1972년부터 1975년 사이의 빙하 크기는 평균보다 작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IPCC 보고서에서도 “1972년부터 1975년까지의 빙하 크기는 상당히 작았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후 빙하의 크기는 1979년 최고조에 이를 정도로 증가했다. 작았던 빙하의 크기가 증가한 부분은 빼버리고, 수치가 기록적으로 높은 시점(1979)부터 그래프를 시작함으로써 빙하가 급격히 녹고 있음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미국 국가기후평가보고서 그래프에서 제외된 1973년부터 1979년 최고점에 이르기까지 상승한 부분은 <그림 3>에서 음영 처리됐다.

 

 


 

 

 

 

기후 종말론

역사적 기록을 범죄 수사기법으로 추적하여 기후 종말론은 인류사 최대 사기극임을 폭로하고 있다. 또 지금의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의 과학적 모순, 사회경제적 피해, 환경적 득실을 사례와 함

www.aladin.co.kr

 

 

 

[함께 읽으면 좋을 도서]

 

 

기후 위기 허구론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기후 위기 허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저술됐다. 왜 유엔이 거짓말을 하는지,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과학적 모순과 데이터 조작을 살펴보고, 기후 위기가 자유민주주의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