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탄소중립이 지구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유엔은 왜 탄소중립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일까?
1. 이산화탄소의 긍정적 효과
이산화탄소 증가가 지구 생태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의 영향으로 지구의 육지 식생 지대 25%에서 50%에 이르는 범위에서 녹색화 현상이 보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호주 연방과학산업기구(CSIRO)는 인간에 의해 대기에 증가한 이산화탄소는 이전 추정치의 거의 두 배인 31±4%가량 바이오매스를 전 세계적으로 증가시켰다고 결론지었다.
관측 자료도 이와 같은 사실을 뒷받침한다. 지금까지 관측된 자료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증가로 초당 축구장 2.7개 정도, 연간 영국 그레이트 브리튼 3개 면적만큼 지구가 푸르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증가는 식량 생산 증가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림 2>는 18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단위 면적당 옥수수 생산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한 것이다. 옥수수는 비료, 품종 개량과 같은 농업 기술 발달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품종으로 이산화탄소 증가가 농업 생산량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처럼 이산화탄소 증가로 농업 분야에서 총 3.5조 달러의 경제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2. 정해진 결과 - 탄소중립의 허망함
여러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탄소중립이 지구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유엔(UN·국제연합)은 지구온난화 가속화의 원인으로 이산화탄소를 꼽으며 IPCC 참여 195개국에 탄소중립을 요구하고 있다.
유엔의 목적은 이산화탄소를 기후위기의 원인으로 만들어 선진국으로부터 기후기금을 받아내고 권력을 키우는 것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2022년 “이제 지구를 불태우는 것을 멈추고 우리 주변에 넘쳐나는 재생에너지에 투자해야 할 시간이다”라고 말했다.
물론 재생에너지는 중요한 기술이지만, 가격 경쟁력이 없어 국민 세금을 통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 유엔이 탄소중립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다. 가짜 기후위기가 만들어낸 탄소중립은 국민의 세금과 기업의 이윤 도둑으로 이어진다.
과학적 지식이 부족한 정치인들은 이산화탄소가 기후위기의 원인이라는 유엔의 감언이설에 넘어가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여러 정책을 실행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자국의 경제적 손실이이었다.
예컨대 미국은 1990년대부터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1톤에서 15톤으로 줄였지만, 같은 기간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32%에서 20%로 떨어졌다.
우리는 지난 2021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제26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미국 MIT 리처드 린젠 교수가 한 “영국에서 어떤 결정을 해도 지구의 기후에는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하고 세계 경제에는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것이다.”라는 말을 새겨들어야 한다. 이산화탄소가 지구의 기후를 조절한다고 믿는 것은 마술을 믿는 것과 아주 유사하다.
기후 위기 허구론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기후 위기 허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저술됐다. 왜 유엔이 거짓말을 하는지,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과학적 모순과 데이터 조작을 살펴보고, 기후 위기가 자유민주주의
www.aladin.co.kr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정의 회장의 무리한 투자와 소프트뱅크의 거액 적자 (0) | 2023.11.09 |
---|---|
앨 고어의 연설에서 시작된 빙하 대재앙 소동 (0) | 2023.11.07 |
한국전쟁 특수로 기사회생의 발판을 마련한 일본 (1) | 2023.10.30 |
기후위기에 대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 (0) | 2023.10.26 |
지구온난화 이론의 과학적 모순과 유엔 (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