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옥4

K-주거문화 1. 『보성 오봉산 구들장 이야기』 ❝구들장 채석지 역사의 흔적을 더듬는 일은 우리 한민족 문화의 속살을 느끼는 일이다❞ 전라남도 보성군에 위치한 오봉산에는 ‘구들장 채석지’가 있다.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약 40년에 걸쳐 구들장 채석이 이루어졌던 산지다. 한때 잊힌 장소였던 이곳은 현재 제833호 국가등록문화재로서 당당하게 이름을 올렸다. 『보성 오봉산 구들장 이야기』는 오봉산 구들장 채석지가 새롭게 발견되고 손질되어 등록문화재로 등재되기까지의 과정을 세심하게 기록한 온돌 역사서다. 온돌이라는 이 훈훈하고 아름다운 우리 문화를 더 깊이 있게 배워보고 싶은 독자들이라면, 자타공인 ‘온돌 전문가’인 김준봉 교수의 책 속에서 오봉산 구들장 채석지에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온돌 역사의 흔적들을 느껴보.. 2024. 1. 19.
대표적인 생태건축 ‘한옥’ 오랜 기간 최우선 순위를 차지했던 산업화와 공업화는 환경 훼손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였고, 세계 각국은 뒤늦게나마 환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자연환경의 회복을 위하여 힘쓰고 있다. 이에 건축계에서도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원과 에너지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건강한 주(住)생활 또는 업무가 가능한 건축을 추구하고자 하는 건축운동이 시작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물질문명의 발달과 지구의 포화로 인한 자연자원의 소멸, 숲의 소멸로 인한 생태계 파괴, 오존층 파괴, 황사, 사막화, 산성비 등은 자연생태계의 제어기능 상실을 초래하였다. 이에 인류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자연환경의 회복을 위하여 애쓰고 있다. 건축계에서도 지구를 지키고 환경을 보호하자는 건축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생태건축.. 2023. 5. 2.
독서하기 좋은 봄날 싱그러운 봄날 책 한 권 어떠세요? 살랑살랑 불어오는 봄바람 맞으며 읽기 좋은 책 추천해 드립니다. 1. 『도련님』 ❝나쓰메 소세키 문학의 정수 올곧아서 외로웠던 도련님의 성장기❞ 나쓰메 소세키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 거짓을 싫어하며 불의의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도련님이 시골 중학교 교사로 부임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 성장 서사이다. 올곧은 도련님에게 아무래도 정정당당하지 않은 세상은 화만 난다. 나쓰메 소세키는 촌철살인의 풍자와 유머를 한껏 구사하며 좌충우돌 도련님의 성장기를 함축적이면서도 깊이 있게 그렸다. 책 속에서 토론 잘한다고 좋은 사람이 아니다. 거기서 밀린다고 나쁜 사람도 아니다. 겉보기엔 빨강셔츠가 그럴싸하지만 겉이 아무리 좋아 봤자 사람을 뼛속까지 홀리지는 못한다. 돈이나 권세나 논.. 2023. 4. 28.
K-컬처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최근 우리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우리 문화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듯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 문화의 길라잡이가 되어 줄 책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1. 『현대한옥 개론』 ❝한옥에 대한 모든 것❞ 우리의 전통가옥 한옥은 현대의 삶에서 쉽게 접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사람들에게 전통가옥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내어 대중화의 길로 이끌고자 (사)한옥학회에서 한옥에 대한 개론을 기획‧계획하게 되었다. 개론은 한옥의 전문가들이 쓴 내용을 큰 주제별로 5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조선시대 양반주택에서 친환경건축으로서의 한옥까지 한옥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은 우리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다. 책 속에서 우리네 한옥들은 어느 지방을 가든지 그 지역의 독특한 자연.. 2022.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