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독감은 1918년 처음 발생해 전 세계에서 약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 간 독감을 말한다. 그런데 스페인 독감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은 전파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호소했다. 스페인 독감에 감염된 환자들이 전파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는 것은 스페인 독감이 전파 노출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가리킨다.
1. 무선통신 시대의 도래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무선통신 시대가 열렸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 무선통신 기술은 걸음마 수준이었다. 강대국 중 독일만이 연결망 구축에 진전을 보이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상황이 바뀌었다. 전쟁 발발 이후 미해군은 공격적으로 송신기를 설치해 나갔다.
미해군은 또한 오레곤주 렌츠(Lents,); 캘리포니아주 사우스 샌프란시스코(South San Francisco); 캘리포니아주 볼리나스(Bolinas); 하와이주 카후쿠(Kahuku); 하와이주 희아 포인트(Heeia Point); 뉴욕주 롱아일랜드 세이빌(Sayville); 뉴저지주 터커튼(Tuckerton)과 뉴브런스윅(New Brunswick)에 있었던 민간 소유의 무선국들을 인수하고 개선했다. 1917년 말엽이 되자 미국의 13개 무선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가로질러 교신하고 있었다. 그런데 스페인 독감이 유행하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시기였다.
2. 스페인 독감은 스페인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다
스페인 독감은 1918년 미국에서 처음 발생했다. 미 해군 기지에서 처음 발생하여 미 해군 선박에 의해 전 세계로 퍼져 나간 것이다. 미 해군 기지에서 처음 발생한 이 질병은 점차 민간인들에게, 그리고,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그런데 스페인 독감에 감염된 환자들은 전파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 스페인 독감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은 출혈 증상으로 고통 받고 있었다. 코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가 있는가 하면 잇몸, 귀, 피부, 위, 창자, 신장에서 출혈이 있는 환자도 있었다.
아이오와주 세다 래피드(Cedar Rapids)의 의사 아서 에르스킨(Arthur Erskine)과 나이트(B. L. Knight)는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 출혈에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은 혈액 자체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다수의 인플루엔자와 폐렴 환자들의 혈액을 검사했다.
그들은 “검사 결과 하나의 예외도 없이 혈액 응고력이 저하되었다”라고 기록했다. 검사 시기는 감염 2일차부터 회복 20일차까지 다양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이것은 어떤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게르하르드(Gerhard)가 1779년 인간의 혈액에 대한 전기 실험을 처음 한 이후로 알려진 사실과 일치하며, 라디오파가 혈액 응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려진 사실과 일치한다.
건강하고 활기찬 젊은이(18세~40세)들이 주로 희생되었다는 것도 스페인 독감의 특징이다. 전기 질환의 만성적 형태인 신경쇠약이 주로 나타나는 연령층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자들은 회복된 후에도 보통 2~3개월은 탈모 증상이 있었다. 보스턴의 메사츄세츠 종합병원 피부전문의 사무엘 아이레스(SamuelAyres)에 의하면, 이것은 거의 일상적인 현상으로 환자의 대부분은 젊은 여성이었다고 한다. 이 또한 호흡기 바이러스로 인한 후유증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지만, 전파 노출로 인한 탈모 현상은 널리 알려져 왔다.
이처럼 스페인 독감에 감염된 환자들이 전파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는 것은 스페인 독감이 전파 노출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가리킨다.
보이지 않는 무지개 - 상
지구와 생명의 전자기 현상과 그 교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위기를 알리고 있다. 지구와 우주의 전기 원리, 대기 이온층이 생명체에 주는 전기 자양분 역할, 세포 대사에 미치는 전자기 영향,
www.aladin.co.kr
[이 도서의 시리즈]
보이지 않는 무지개 - 하
현대인이 지구와 생명의 전자기 현상을 무시한 결과로 발생한 인체 질환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과거 희소병에 불과했던 심장병, 당뇨, 암, 이명 등이 20세기 전기 문명과 함께 대중화된 사실과
www.aladin.co.kr
'책으로 나누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위기에 대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 (0) | 2023.10.26 |
---|---|
지구온난화 이론의 과학적 모순과 유엔 (0) | 2023.10.25 |
물전쟁은 언제든지 다시 일어날 수 있다 (2) | 2023.10.18 |
노벨평화상 수상자의 거짓말과 이산화탄소 (0) | 2023.10.16 |
에너지 부족과 가격 상승 그리고 가난 (0)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