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소개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봉건국가에서 서구 자본주의 사회로 급속히 전환하였으며 패전 후 불과 20여 년 만에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제2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선 일본경제는 역사적인 연속성으로 바라봐야 한다. 역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오늘날의 일본경제구조와 경제운영이 어떠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이러한 일본경제론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했다.
2. 지은이 소개
저자: 강철구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学)에서 학부와 석사, 박사과정을 거쳐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2004년 한국에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행정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06년에는 자리를 옮겨 고려대학교 경제학부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고려대학교 최초로‘일본경제론’을 개설하고 그 열매로 석탑 강의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에는 한동대학교에서 참된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몸으로 익혔고, 지금은 배재대학교 일본학과에서‘학생을 섬기는’교수로 실천하고 있다.
3. 목차
머리말
1장 메이지유신과 일본의 근대화
1. 울고 싶은데 뺨을 때린 페리
2. 공업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다
3. 은행제도와 주식회사
4. 자본주의 발전과 정부의 역할
5. 초기 기업가의 유형과 경영이념
2장 전쟁으로 몰락하고 전쟁 덕분에 성장하고
1. 제국주의 일본과 전쟁의 후폭풍
2. 반딧불의 묘
3. 이제야 살았다? 한국전쟁 특수
4. 일본기업의 3대 고용관행
3장 재벌구조와 메인뱅크
1. 재벌의 흥망성쇠
2. 기업집단의 형성
3. 법인자본주의와 경제민주화
4. 메인뱅크제도
5. 화려한 일족
4장 일본의 고도성장기
1. 진무경기 - 자신감 회복
2. 이와토경기 - 도쿄타워와 올림픽
3. 이자나기 경기 - 골리앗 미국을 이기다
4. 일본열도개조론 - 광란물가
5. 고도성장 요인 - 재갈 물린 자본주의
5장 버블경기와 잃어버린 10년
1. Japan as No.1
2. 변덕쟁이 일본은행의 대실수
3. 버블경제와 헤이세이불황
4. 타이밍을 놓치다
5. 일본의 국제원조와 국가 이미지
6장 호롱불 같은 일본 경제
1. 금융기관을 좀먹는 부실채권
2. 금융개혁의 전야제
3. 제로금리정책 이후의 변화
4. 일본식 고용시스템의 변화
5. 저출산·고령화 정책의 변화
7장 아직도 잃어버린 일본 경제일까?
1. 일본시장의 특징
2. 변화에 느려도 너무 느린 일본기업
3. 그렇지만 튼튼한 기초
4. 잃어버리지 않은 경제력
5. 노벨상의 원동력, 과학기술정책
8장 아베노믹스와 Society 5.0
1. 아베노믹스
2. 아베노믹스에 대한 평가
3. 모노즈쿠리
4. 일본의 4차산업혁명, Society 5.0
5. 대일무역과 한일 경제 비교
참고문헌
4. 출판사 서평
어떤 현상이든 분명히 거기에는
통계에서 보이지 않는
역사적 배경과 원인이 숨어 있다!
일본은 패전 뒤에 불과20여 년 만에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다.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에 버블경기로, 이후 1990년대 초부터 ‘잃어버린 10년’(lost decade)이란 경기침체에서 2010년대에 이르는 ‘잃어버린 20년’(lost two decades)으로 장기간 경기침체를 겪는다.
일본 경제는 역사적인 연속성으로 살펴야 한다. 역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과거를 거슬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일본 경제구조와 경제운영의 연결고리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은 동양에서는 가장 빨리 근대화를 추진했고 그 결과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다. 경제 대국으로 올라선 것은, 일본인의 국민성과 환경,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 국정 리더십 등이 함께 작용한 결과이다.
사회와 문화로부터의 역사성의 작용은 일본이 서양으로부터 근대화를 도입하기 이전의 메이지유신을 기점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메이지유신으로부터 오늘날 일본 경제의 내외적 요인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 경제는 역사적인 연속성에서 오늘날의 일본경제 구조와 경제운영이 어떠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1장에서는 메이지유신과 일본의 근대화에 대해 다루며 2장에서는 전쟁으로 몰락했지만 한국 전쟁으로 다시 성장하게 된 일본 경제를 다룬다. 3장에서는 일본에서 재벌과 메인뱅크의 관계를, 4장에서는 일본의 고도 성장기, 5장에서는 일본의 버블경기를 다룬다. 6장에서는 시대에 맞춰 변화되는 일본 경제를 다루며 7장과 8장에서는 오늘날의 일본 경제를 살펴본다.
일본 경제 고민없이 읽기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봉건국가에서 서구 자본주의 사회로 급속히 전환하였으며 패전 후 불과 20여 년 만에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역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오늘날의 일본경제
www.aladin.co.kr
'신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행 - 산티아고 순례길, 프랑스길과 포르투갈 해안길을 걷다 (1) | 2022.10.05 |
---|---|
도련님 (1) | 2022.10.05 |
일본, 군비확장의 역사 (개정판) - 일본군의 팽창과 붕괴 (1) | 2022.10.05 |
박물관의 창 - 박물관을 탐探하다 (1) | 2022.10.05 |
일본의 100가지 大의문 - 일본인 90%가 대답하지 못하는 (1) | 2022.10.05 |